시강 및 시론 119

제목은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14. 제목은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나는 음식점을 고를 때 간판을 유심히 보는 편이다. 간판에 적힌 상호, 간판의 크기, 글자체, 디자인에 따라 그 음식점의 역사와 음식의 맛을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원조’라는 말이 붙어 있으면 일단 의심한다. 역사성의 과잉이거나 후발주자의 과장 ..

형용사를 멀리 하고 동사를 가까이 하라

13. 형용사를 멀리 하고 동사를 가까이 하라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가 쓴 동시 한 편을 읽어보자. 어느 어린이 글짓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 동시를 쓴 아이에게는 참 미안한 말이지만, 나는 이런 유형의 동시를 보면 화가 난다. 한숨이 절로 쏟아진다. 이 동시를 쓴 아이 때문이 아니..

[스크랩] 시와 연애하는 법. 1. 한 줄을 쓰기 전에 백 줄을 읽어라 / 안도현

시와 연애하는 법 안도현 1. 한 줄을 쓰기 전에 백 줄을 읽어라 좋은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독(多讀)·다작(多作)·다상량(多商量), 곧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이 세 마디의 가르침은 10세기 중국 북송 때의 문인 구양수가 남긴 말이다. 자그마치 천 년 동안 귀에 못이 박히도..

[스크랩] <현대시 지도론>저항시의 이해와 교육

&lt;현대시 지도론&gt;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 저항시의 이해와 교육 - 목 차 Ⅰ. 저항시의 개념 Ⅱ. 저항시인 1. 윤동��� (1) 부끄러움의 미학 (2) 윤동주와 동시 2. 이육사 (1) 이육사의 생애 (2) 이육사의 시세계 Ⅲ. 저항시 가르치기 1. 교과서 속의 저항시 살펴보기 2. 저항시 가르치기 국어..

[스크랩]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인간의 정서 가운데 사랑만큼 마음을 설레게 하는 단어도 없다. 아담과 이브의 사랑에서 보듯 인류 최초의 사건도 사랑이었다. 그렇기에 사랑은 어쩌면 인간이 태어나서 느끼는 감각 가운데 첫 번째 놓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크랩]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윤성택

-좋은 시를 스기 위한 자기 점검/ 윤성택 * 내 시에 진정 독특한 그 무엇이 있는가 * 하나의 문제를 중심축(통일성)으로 이미지를 전개하였는가 * 절실한 내용을 진실하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 관념 대신 인식을, 습관 대신 체험을 즉 관념의 서술에 치우치지 않았는가 * 정서에 비해 의식이 너무 앞서지 ..

문예대학 습작회보--시 읽기, 시 알기 시 쓰기

문예대학 습작회보--시 읽기, 시 알기 시 쓰기 詩人이란 물론 詩같은 것을 쓰면 전부 詩人입니다. 그러나 詩人님이란 소리를 듣는 詩人이되고싶은 분이라면 반드시 다음 것을 실천하십시요....시 읽기와 시 알기와 시 쓰기 1 먼저 詩가 무엇인지를 알아야합니다. 대부분 독자님들은 중고교 책에서 詩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