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은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14. 제목은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나는 음식점을 고를 때 간판을 유심히 보는 편이다. 간판에 적힌 상호, 간판의 크기, 글자체, 디자인에 따라 그 음식점의 역사와 음식의 맛을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원조’라는 말이 붙어 있으면 일단 의심한다. 역사성의 과잉이거나 후발주자의 과장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02.12
형용사를 멀리 하고 동사를 가까이 하라 13. 형용사를 멀리 하고 동사를 가까이 하라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가 쓴 동시 한 편을 읽어보자. 어느 어린이 글짓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 동시를 쓴 아이에게는 참 미안한 말이지만, 나는 이런 유형의 동시를 보면 화가 난다. 한숨이 절로 쏟아진다. 이 동시를 쓴 아이 때문이 아니..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02.12
안도현의 시세계 안도현의 시세계 구정 연휴도 지나고, 이제 졸업과 입학 그리고 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많이 기다리셨을 것으로 생각되면서도 예정을 넘기게 되어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우선 여러분들께서는 자료실에 올려져 있는 안도현 시인에 관련된 자료들을 꼼꼼히 읽어 주셔야 하고 그렇게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01.03
[스크랩] 시와 연애하는 법. 1. 한 줄을 쓰기 전에 백 줄을 읽어라 / 안도현 시와 연애하는 법 안도현 1. 한 줄을 쓰기 전에 백 줄을 읽어라 좋은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독(多讀)·다작(多作)·다상량(多商量), 곧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이 세 마디의 가르침은 10세기 중국 북송 때의 문인 구양수가 남긴 말이다. 자그마치 천 년 동안 귀에 못이 박히도..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15
[스크랩] <현대시 지도론>저항시의 이해와 교육 <현대시 지도론>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 저항시의 이해와 교육 - 목 차 Ⅰ. 저항시의 개념 Ⅱ. 저항시인 1. 윤동��� (1) 부끄러움의 미학 (2) 윤동주와 동시 2. 이육사 (1) 이육사의 생애 (2) 이육사의 시세계 Ⅲ. 저항시 가르치기 1. 교과서 속의 저항시 살펴보기 2. 저항시 가르치기 국어..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10
[스크랩]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인간의 정서 가운데 사랑만큼 마음을 설레게 하는 단어도 없다. 아담과 이브의 사랑에서 보듯 인류 최초의 사건도 사랑이었다. 그렇기에 사랑은 어쩌면 인간이 태어나서 느끼는 감각 가운데 첫 번째 놓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06
열두 편의 시와 일곱 가지 이야기 열두 편의 시와 일곱 가지 이야기 공광규 시는 인류가 남긴 최고의 문화예술입니다. 공자는 역대의 시를 모은 <시경>으로 제자들을 가르쳤으며, 중국의 옛 사람 원매는 시를 읽으면 인생이 아름다워진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인지 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이런 질문을 많이 합니다. “어떻게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02
[스크랩]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윤성택 -좋은 시를 스기 위한 자기 점검/ 윤성택 * 내 시에 진정 독특한 그 무엇이 있는가 * 하나의 문제를 중심축(통일성)으로 이미지를 전개하였는가 * 절실한 내용을 진실하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 관념 대신 인식을, 습관 대신 체험을 즉 관념의 서술에 치우치지 않았는가 * 정서에 비해 의식이 너무 앞서지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0.28
문예대학 습작회보--시 읽기, 시 알기 시 쓰기 문예대학 습작회보--시 읽기, 시 알기 시 쓰기 詩人이란 물론 詩같은 것을 쓰면 전부 詩人입니다. 그러나 詩人님이란 소리를 듣는 詩人이되고싶은 분이라면 반드시 다음 것을 실천하십시요....시 읽기와 시 알기와 시 쓰기 1 먼저 詩가 무엇인지를 알아야합니다. 대부분 독자님들은 중고교 책에서 詩와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0.26
좋은 수필의 조건 좋은 수필의 조건 권 대 근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에세이문예 편집인 I. 열며 - 좋은 수필가란, 마음 속에 마르지 않는 옹달샘을 가지고 있는 사람, 아름다운 종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 자신을 비춰 볼 수 있는 거울을 가진 사람, 다른 사람의 밭에 옮겨 심을 꽃씨를 가진 사람, 언제 어디서나 다른..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