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의 향기/▒ 논어 36

[스크랩] 論語♡따라잡기 《論語》第2篇 위정(爲政)19章|

哀公이 問曰 何爲則民服인지요 애공이 문왈 하위즉민복인지요 孔子對曰 擧直조저枉 칙민복하고 공자대왈 거직조저왕 칙민복하고 擧枉조저直 則民不服입니다 거왕조저직 칙민불복입니다 [해독(해독)] 애공이 물었다." 어떻게 하면 백성이 따르겠소? 공자께서 답해주었다. "곧은 것을 들어 굽은것 위..

[스크랩] 論語♡따라잡기 《論語》第2篇 위정(爲政)18章

子張이 學干錄한대 子曰 多聞闕疑오 愼言基餘면 자장이 학간록한대 자왈 다문궐의오 신언기여면 則寡尤하고 多見闕殆오 愼行基餘면則寡悔니 칙과우하고 다견궐태오 신행기여면칙과회니 言寡尤하며 行寡悔면 錄在基中矣니라 언과우하며 행과회면 녹재기중의니라 [해독(解讀)] 자장이 녹봉을 구하..

[스크랩] 論語♡따라잡기 《論語》第2篇 위정(爲政)10章

子曰 視其所以하고 觀其所由하며 察其所安이면 자왈 시기소이하고 관기소유하며 찰기소안이면 人焉수哉리오 人焉수哉리오 인언수재리오 인언수재리오 [해독(解讀)] 공자께서 말했다[子曰]"그 행동거지를 곧장 바라보고 [ 視其所以]그 지내온 바를 꼼꼼히 살피며[觀其所由], 일을 하고나서 편안해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