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이론과 실제/詩論과 詩學 - 이향아 제1장 詩와 詩論 1. 詩論과 詩學 강사/이향아 "詩의 理論은 詩를 창작하는 데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다시 말해서 "우리는 詩의 이론을 학습함으로써 시를 창작하는 일에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가?" "시의 이론을 알고 창작한 詩는 詩의 이론을 모르는 상태에서 창작한 詩와 어..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11.13
[스크랩] 현대시 이렇게 쓰자 3 현대시 이렇게 쓰자 - 본 글은 박진환 님의 "현대시창작"에 있는 내용을 간추려서 게재했음- 예를 통한 시의 8단계 무슨 죄를 지었기에 종일토록 벌을 서 있는가 나무는 -- 벌선 나무로 변용이 됨. 창밖에 서 있는 나무가 무슨 나무인가를 먼저 식별해야. 식별하는 방법 2가지 1. 무슨..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11.11
[스크랩] 현대시 이렇게 쓰자 2 현대시 이렇게 쓰자 - 본 글은 박진환 님의 "현대시창작"에 있는 내용을 간추려서 게재했음- 생각한 것을 생각한 그대로 드러내서는 안된다는 사실이다. ---여기에서 생각은 觀念과 동의어로 생각해도 좋다. 대부분의 경우 관념은 固定的일 때가 많다. 그만큼 인지의 발달이나 과학..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11.11
[스크랩] 현대시 이렇게 쓰자 1 현대시 이렇게 쓰자 - 본 글은 박진환 님의 "현대시창작"에 있는 내용을 간추려서 게재했음- 제1장 현대시 이렇게 쓰자 시창작에 따른 몇 가지 관심의 환기 . 物을 보는 법을 배워야 한다 -물은 사물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경우 시적 대상으론 사물이 주어지고, 주어진 사물의 해석..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11.11
제목은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14. 제목은 시쓰기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나는 음식점을 고를 때 간판을 유심히 보는 편이다. 간판에 적힌 상호, 간판의 크기, 글자체, 디자인에 따라 그 음식점의 역사와 음식의 맛을 짐작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원조’라는 말이 붙어 있으면 일단 의심한다. 역사성의 과잉이거나 후발주자의 과장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02.12
형용사를 멀리 하고 동사를 가까이 하라 13. 형용사를 멀리 하고 동사를 가까이 하라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가 쓴 동시 한 편을 읽어보자. 어느 어린이 글짓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한다. 이 동시를 쓴 아이에게는 참 미안한 말이지만, 나는 이런 유형의 동시를 보면 화가 난다. 한숨이 절로 쏟아진다. 이 동시를 쓴 아이 때문이 아니..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02.12
안도현의 시세계 안도현의 시세계 구정 연휴도 지나고, 이제 졸업과 입학 그리고 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분들께서 많이 기다리셨을 것으로 생각되면서도 예정을 넘기게 되어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우선 여러분들께서는 자료실에 올려져 있는 안도현 시인에 관련된 자료들을 꼼꼼히 읽어 주셔야 하고 그렇게 ..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1.01.03
[스크랩] 시와 연애하는 법. 1. 한 줄을 쓰기 전에 백 줄을 읽어라 / 안도현 시와 연애하는 법 안도현 1. 한 줄을 쓰기 전에 백 줄을 읽어라 좋은 글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다독(多讀)·다작(多作)·다상량(多商量), 곧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라는 이 세 마디의 가르침은 10세기 중국 북송 때의 문인 구양수가 남긴 말이다. 자그마치 천 년 동안 귀에 못이 박히도..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15
[스크랩] <현대시 지도론>저항시의 이해와 교육 <현대시 지도론>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 저항시의 이해와 교육 - 목 차 Ⅰ. 저항시의 개념 Ⅱ. 저항시인 1. 윤동��� (1) 부끄러움의 미학 (2) 윤동주와 동시 2. 이육사 (1) 이육사의 생애 (2) 이육사의 시세계 Ⅲ. 저항시 가르치기 1. 교과서 속의 저항시 살펴보기 2. 저항시 가르치기 국어..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10
[스크랩]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 현대시에 나타난 사랑의 여러 양상들 /송기한 (평론가, 대전대 교수) 인간의 정서 가운데 사랑만큼 마음을 설레게 하는 단어도 없다. 아담과 이브의 사랑에서 보듯 인류 최초의 사건도 사랑이었다. 그렇기에 사랑은 어쩌면 인간이 태어나서 느끼는 감각 가운데 첫 번째 놓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강 및 시론/▒ 시강및 시론 201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