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근담(菜根譚)전집 제40장]
도리에서 한 번 뒷걸음치면 도리로부터 아주 멀어지고 만다
欲路上事 毋樂其便而姑爲染指
욕노상사 무락기변이고위염지
一染指 便深入萬.
일염지 변심입만
欲路上事 毋憚其難而稍爲退步
욕노상사 무탄기난이초위퇴보
一退步 便遠隔千山
일퇴보 변원격천산
욕정에 관한 일은 쉽게 얻을 수 있다 해도
그 편리함을 조금이라도 즐겨 맛보지 말지니라
한번 맛보면 곧 만길 벼랑으로 떨어지리라
도리에 관한 일은 비록 어렵다 해도
조금이라도 물러서지 말지니라
한번 물러서면 곧 천산千山처럼 멀리 격하리라
[해설]
욕정과 도리는 어떤 의미에서 반대 개념이다
욕정은 인간의 본능이며 그 유혹은 뿌리치기가 어렵다
반면 도리는 자연의 순리이며 진리인데
그것을 따돌리는 것은 쉬우면서도 어렵다
어려운 것을 피하고 유혹에 빠져들기 쉬운 것이
인생이거니와 그것은 결코 순리일 수 없다
여기에 인생의 갈등과 모순이 존재한다
자기 수양의 필요성은 바로 이 도리를 따르려는 자기 발전임이다
|
출처 : 겨울 바다와 파도
글쓴이 : 강의리 원글보기
메모 :
'고전의 향기 > ▒ 채근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제42장] (0) | 2010.11.06 |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제41장] (0) | 2010.11.06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제39장] (0) | 2010.11.06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제38장] (0) | 2010.11.06 |
[스크랩] [채근담(菜根譚)전집 제37장] (0) | 2010.11.06 |